맨위로가기

1976년 하계 올림픽 농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76년 하계 올림픽 농구는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개최되었으며, 남자부와 여자부 경기로 진행되었다. 남자 농구에는 12개 팀이 참가하여 예선 라운드를 거쳐 상위 팀들이 토너먼트로 순위를 결정했으며, 미국이 금메달을, 유고슬라비아가 은메달을, 소련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여자 농구는 이 대회에서 처음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6개 팀이 풀 리그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고, 소련이 금메달, 미국이 은메달, 불가리아가 동메달을 차지했다.

2. 경기 방식

1976년 하계 올림픽 남자 농구에는 12개 팀이 참가하여 6개 팀씩 2개 조로 나뉘어 예선 라운드를 진행했다. 각 조 상위 2개 팀이 준결승에 진출하여 토너먼트 방식으로 최종 순위를 결정했다. 각 조 3, 4위 팀은 5~8위 결정전을, 5, 6위 팀은 9~12위 결정전을 치렀다. 이집트가 중도 기권하여 일부 경기가 몰수 처리되었다.

동점자 처리 기준은 다음과 같았다.

# 상대 전적

# 동률 팀 간의 득실률 (득실차가 아님)

# 소속 조의 모든 팀에 대한 동률 팀의 득실률

여자부 경기는 6개 팀이 모두 참가하는 단일 풀 리그 방식으로 진행되어 최종 순위를 결정했다.

순위 결정은 다음의 기준을 따랐다:

# 승점

# 상대 전적

# 동률 팀 간의 득실률

# 소속 조의 모든 팀에 대한 동률 팀의 득실률

2. 1. 남자부 경기 방식

1976년 하계 올림픽 남자 농구에는 12개 팀이 참가하여 6개 팀씩 2개 조로 나뉘어 예선 라운드를 진행했다. 각 조 상위 2개 팀이 준결승에 진출하여 토너먼트 방식으로 최종 순위를 결정했다. 각 조 3, 4위 팀은 5~8위 결정전을, 5, 6위 팀은 9~12위 결정전을 치렀다. 이집트가 중도 기권하여 일부 경기가 몰수 처리되었다.

동점자 처리 기준은 다음과 같았다.

# 상대 전적

# 동률 팀 간의 득실률 (득실차가 아님)

# 소속 조의 모든 팀에 대한 동률 팀의 득실률

2. 2. 여자부 경기 방식

여자부 경기는 6개 팀이 모두 참가하는 단일 풀 리그 방식으로 진행되어 최종 순위를 결정했다.

순위 결정은 다음의 기준을 따랐다:

# 승점

# 상대 전적

# 동률 팀 간의 득실률

# 소속 조의 모든 팀에 대한 동률 팀의 득실률

3. 남자부

1976년 하계 올림픽 농구 남자부에는 총 12개국이 본선에 진출했다.[1] 개최국 캐나다와 이전 올림픽(뮌헨 올림픽) 상위 3개 팀(소련, 미국, 쿠바)은 자동 출전권을 얻었다.[1] 나머지 팀들은 국제 농구 연맹(FIBA)이 주최하는 대륙별 예선 토너먼트를 통해 올림픽 출전 자격을 획득했다.[1]

아프리카 예선 통과국인 이집트가 중도 기권하였다.[1] 아시아 예선에서는 일본중국을 제치고 본선에 진출하였다.[1] 그 외에 멕시코, 푸에르토리코, 이탈리아, 유고슬라비아, 체코슬로바키아, 오스트레일리아가 각 대륙별 예선을 통과하여 올림픽 본선에 진출했다.[1]

예선티켓 수참가국
개최국1캐나다
뮌헨 올림픽3소련
미국
쿠바
아프리카1이집트
아시아1일본
아메리카2멕시코
푸에르토리코
유럽3이탈리아
유고슬라비아
체코슬로바키아
오세아니아1오스트레일리아
12



각 예선 조의 상위 두 팀은 준결승에 진출했으며, A조 팀은 B조 팀과 맞붙게 되었다. 이 토너먼트의 강호인 소련미국은 예선 라운드를 무패로 통과했다. 개최국인 캐나다 역시 유고슬라비아와 함께 준결승에 진출했다.

이집트는 체코슬로바키아를 상대로 단 한 경기만 치른 후, 여러 아프리카 국가들의 보이콧을 지지하며 귀국했다. 그들의 나머지 경기는 기권 처리되었다.

=== A조 ===

A조에는 소련, 캐나다, 쿠바, 오스트레일리아, 멕시코, 일본이 편성되었다. 소련과 캐나다가 각각 조 1, 2위로 준결승에 진출했다. 일본은 1승도 거두지 못하고 최하위를 기록했다.

득점실점득실차승점
소련/СССРru50548374+17410
캐나다/Canada영어41446416+309
쿠바/Cubaes32448402+468
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영어23472481−97
멕시코/Méxicoes14461511−506
일본/日本일본어05364555−1915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 7월 18일

캐나다 104 - 76 일본
쿠바 111 - 89 오스트레일리아

멕시코 77 - 120 소련

  • 7월 19일

캐나다 84 - 79 쿠바
소련 93 - 77 오스트레일리아
멕시코 108 - 90 일본

  • 7월 21일

멕시코 117 - 120 오스트레일리아 (연장)

일본 56 - 97 쿠바소련 108 - 85 캐나다

  • 7월 23일

일본 63 - 129 소련멕시코 75 - 89 쿠바오스트레일리아 69 - 81 캐나다

  • 7월 24일

쿠바 72 - 98 소련멕시코 84 - 92 캐나다오스트레일리아 117 - 79 일본

모든 경기는 에티엔 데스마르토 센터에서 열렸다.

=== B조 ===

B조에는 미국, 유고슬라비아, 이탈리아, 체코슬로바키아, 푸에르토리코, 이집트가 편성되었다. 미국과 유고슬라비아가 각각 조 1, 2위로 준결승에 진출했다. 이집트는 한 경기 후 기권하여 모든 경기가 몰수 처리되었다.

득점실점득실차승점
미국/United States영어50394349+4510
유고슬라비아/Jugoslavijash41364343+219
이탈리아/Italiait32349344+58
체코슬로바키아/Československocs23418406+127
푸에르토리코/Puerto Ricoes14321363−426
이집트/Misrar0164105−411


  • 7월 18일, 에티엔 데스마르토 경기장

유고슬라비아/Jugoslavijash 84, 푸에르토리코/Puerto Ricoes 63

  • 7월 18일, 에티엔 데스마르토 경기장

이탈리아/Italiait 86, 미국/United States영어 106

  • 7월 18일, 에티엔 데스마르토 경기장

이집트/Misrar 64, 체코슬로바키아/Československocs 103

  • 7월 20일, 에티엔 데스마르토 경기장

이탈리아/Italiait 2, 이집트/Misrar 0 (몰수)

  • 7월 20일, 에티엔 데스마르토 경기장

미국/United States영어 95, 푸에르토리코/Puerto Ricoes 94

  • 7월 20일, 에티엔 데스마르토 경기장

유고슬라비아/Jugoslavijash 99, 체코슬로바키아/Československocs 81

  • 7월 21일, 에티엔 데스마르토 경기장

푸에르토리코/Puerto Ricoes 2, 이집트/Misrar 0 (몰수)

  • 7월 21일, 에티엔 데스마르토 경기장

체코슬로바키아/Československocs 69, 이탈리아/Italiait 79

  • 7월 21일, 에티엔 데스마르토 경기장

유고슬라비아/Jugoslavijash 93, 미국/United States영어 112

  • 7월 22일, 에티엔 데스마르토 경기장

체코슬로바키아/Československocs 89, 푸에르토리코/Puerto Ricoes 83

  • 7월 22일, 에티엔 데스마르토 경기장

유고슬라비아/Jugoslavijash 88, 이탈리아/Italiait 87

  • 7월 22일, 에티엔 데스마르토 경기장

미국/United States영어 2, 이집트/Misrar 0 (몰수)

  • 7월 24일, 에티엔 데스마르토 경기장

미국/United States영어 81, 체코슬로바키아/Československocs 76

  • 7월 24일, 에티엔 데스마르토 경기장

유고슬라비아/Jugoslavijash 2, 이집트/Misrar 0 (몰수)

  • 7월 24일, 에티엔 데스마르토 경기장

이탈리아/Italiait 95, 푸에르토리코/Puerto Ricoes 81

=== 남자부 결선 토너먼트 ===

7월 26일에 열린 준결승전에서 유고슬라비아가 소련을 89-84로, 미국캐나다를 95-77로 꺾었다. 7월 27일에 열린 결승전에서는 미국이 유고슬라비아를 95-74로 꺾고 금메달을 차지했다. 같은 날 열린 3-4위전에서는 소련캐나다를 100-72로 꺾고 동메달을 획득했다. 경기는 몬트리올 포럼에서 개최되었다.

=== 남자부 순위 결정전 ===

'''5~8위 결정전'''

7월 25일에 열린 준결승에서 체코슬로바키아가 쿠바를 91-76으로, 이탈리아호주를 79-72로 이겼다. 7월 27일에 열린 5위 결정전에서 이탈리아가 체코슬로바키아를 98-75로 꺾고 5위를 차지했다. 같은 날 열린 7위 결정전에서는 쿠바가 호주를 92-81로 꺾고 7위를 차지했다.

'''9~12위 결정전'''

7월 25일에 열린 준결승에서 멕시코이집트에 2-0 몰수승을 거두었다. 같은 날 푸에르토리코일본을 111-91로 꺾었다. 7월 27일에 열린 9위 결정전에서 푸에르토리코멕시코를 89-84로 꺾고 9위를 차지했다. 같은 날 열린 11위 결정전에서는 일본이집트의 기권으로 11위를 차지했다.

기권 경기.

=== 남자부 최종 순위 ===


3. 1. 남자부 출전국

1976년 하계 올림픽 농구 남자부에는 총 12개국이 본선에 진출했다.[1] 개최국 캐나다와 이전 올림픽(뮌헨 올림픽) 상위 3개 팀(소련, 미국, 쿠바)은 자동 출전권을 얻었다.[1] 나머지 팀들은 국제 농구 연맹(FIBA)이 주최하는 대륙별 예선 토너먼트를 통해 올림픽 출전 자격을 획득했다.[1]

아프리카 예선 통과국인 이집트가 중도 기권하였다.[1] 아시아 예선에서는 일본중국을 제치고 본선에 진출하였다.[1] 그 외에 멕시코, 푸에르토리코, 이탈리아, 유고슬라비아, 체코슬로바키아, 오스트레일리아가 각 대륙별 예선을 통과하여 올림픽 본선에 진출했다.[1]

예선티켓 수참가국
개최국1
뮌헨 올림픽3

아프리카1
아시아1
아메리카2
유럽3

오세아니아1
12


3. 2. 남자부 예선

각 예선 조의 상위 두 팀은 준결승에 진출했으며, A조 팀은 B조 팀과 맞붙게 되었다. 이 토너먼트의 강호인 소련미국은 예선 라운드를 무패로 통과했다. 개최국인 캐나다 역시 유고슬라비아와 함께 준결승에 진출했다.

이집트는 체코슬로바키아를 상대로 단 한 경기만 치른 후, 여러 아프리카 국가들의 보이콧을 지지하며 귀국했다. 그들의 나머지 경기는 기권 처리되었다.

=== A조 ===

A조에는 소련, 캐나다, 쿠바, 오스트레일리아, 멕시코, 일본이 편성되었다. 소련과 캐나다가 각각 조 1, 2위로 준결승에 진출했다. 일본은 1승도 거두지 못하고 최하위를 기록했다.

득점실점득실차승점
소련/СССРru50548374+17410
캐나다/Canada영어41446416+309
쿠바/Cubaes32448402+468
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영어23472481−97
멕시코/Méxicoes14461511−506
일본/日本일본어05364555−1915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 7월 18일

캐나다 104 - 76 일본
쿠바 111 - 89 오스트레일리아

멕시코 77 - 120 소련

  • 7월 19일

캐나다 84 - 79 쿠바
소련 93 - 77 오스트레일리아
멕시코 108 - 90 일본

  • 7월 21일

멕시코 117 - 120 오스트레일리아 (연장)

일본 56 - 97 쿠바소련 108 - 85 캐나다

  • 7월 23일

일본 63 - 129 소련멕시코 75 - 89 쿠바오스트레일리아 69 - 81 캐나다

  • 7월 24일

쿠바 72 - 98 소련멕시코 84 - 92 캐나다오스트레일리아 117 - 79 일본

모든 경기는 에티엔 데스마르토 센터에서 열렸다.

=== B조 ===

B조에는 미국, 유고슬라비아, 이탈리아, 체코슬로바키아, 푸에르토리코, 이집트가 편성되었다. 미국과 유고슬라비아가 각각 조 1, 2위로 준결승에 진출했다. 이집트는 한 경기 후 기권하여 모든 경기가 몰수 처리되었다.

득점실점득실차승점
미국/United States영어50394349+4510
유고슬라비아/Jugoslavijash41364343+219
이탈리아/Italiait32349344+58
체코슬로바키아/Československocs23418406+127
푸에르토리코/Puerto Ricoes14321363−426
이집트/Misrar0164105−411


  • 7월 18일, 에티엔 데스마르토 경기장

유고슬라비아/Jugoslavijash 84, 푸에르토리코/Puerto Ricoes 63

  • 7월 18일, 에티엔 데스마르토 경기장

이탈리아/Italiait 86, 미국/United States영어 106

  • 7월 18일, 에티엔 데스마르토 경기장

이집트/Misrar 64, 체코슬로바키아/Československocs 103

  • 7월 20일, 에티엔 데스마르토 경기장

이탈리아/Italiait 2, 이집트/Misrar 0 (몰수)

  • 7월 20일, 에티엔 데스마르토 경기장

미국/United States영어 95, 푸에르토리코/Puerto Ricoes 94

  • 7월 20일, 에티엔 데스마르토 경기장

유고슬라비아/Jugoslavijash 99, 체코슬로바키아/Československocs 81

  • 7월 21일, 에티엔 데스마르토 경기장

푸에르토리코/Puerto Ricoes 2, 이집트/Misrar 0 (몰수)

  • 7월 21일, 에티엔 데스마르토 경기장

체코슬로바키아/Československocs 69, 이탈리아/Italiait 79

  • 7월 21일, 에티엔 데스마르토 경기장

유고슬라비아/Jugoslavijash 93, 미국/United States영어 112

  • 7월 22일, 에티엔 데스마르토 경기장

체코슬로바키아/Československocs 89, 푸에르토리코/Puerto Ricoes 83

  • 7월 22일, 에티엔 데스마르토 경기장

유고슬라비아/Jugoslavijash 88, 이탈리아/Italiait 87

  • 7월 22일, 에티엔 데스마르토 경기장

미국/United States영어 2, 이집트/Misrar 0 (몰수)

  • 7월 24일, 에티엔 데스마르토 경기장

미국/United States영어 81, 체코슬로바키아/Československocs 76

  • 7월 24일, 에티엔 데스마르토 경기장

유고슬라비아/Jugoslavijash 2, 이집트/Misrar 0 (몰수)

  • 7월 24일, 에티엔 데스마르토 경기장

이탈리아/Italiait 95, 푸에르토리코/Puerto Ricoes 81

3. 2. 1. A조

A조에는 소련, 캐나다, 쿠바, 오스트레일리아, 멕시코, 일본이 편성되었다. 소련과 캐나다가 각각 조 1, 2위로 준결승에 진출했다. 일본은 1승도 거두지 못하고 최하위를 기록했다.

득점실점득실차승점
소련/СССРru50548374+17410
캐나다/Canada영어41446416+309
쿠바/Cubaes32448402+468
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영어23472481−97
멕시코/Méxicoes14461511−506
일본/日本일본어05364555−1915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 7월 18일

캐나다 104 - 76 일본
쿠바 111 - 89 오스트레일리아

멕시코 77 - 120 소련

  • 7월 19일

캐나다 84 - 79 쿠바
소련 93 - 77 오스트레일리아
멕시코 108 - 90 일본

  • 7월 21일

멕시코 117 - 120 오스트레일리아 (연장)

일본 56 - 97 쿠바소련 108 - 85 캐나다

  • 7월 23일

일본 63 - 129 소련멕시코 75 - 89 쿠바오스트레일리아 69 - 81 캐나다

  • 7월 24일

쿠바 72 - 98 소련멕시코 84 - 92 캐나다오스트레일리아 117 - 79 일본

모든 경기는 에티엔 데스마르토 센터에서 열렸다.

3. 2. 2. B조

B조에는 미국, 유고슬라비아, 이탈리아, 체코슬로바키아, 푸에르토리코, 이집트가 편성되었다. 미국과 유고슬라비아가 각각 조 1, 2위로 준결승에 진출했다. 이집트는 한 경기 후 기권하여 모든 경기가 몰수 처리되었다.

득점실점득실차승점
미국/United States영어50394349+4510
유고슬라비아/Jugoslavijash41364343+219
이탈리아/Italiait32349344+58
체코슬로바키아/Československocs23418406+127
푸에르토리코/Puerto Ricoes14321363−426
이집트/Misrar0164105−411


  • 7월 18일, 에티엔 데스마르토 경기장

유고슬라비아/Jugoslavijash 84, 푸에르토리코/Puerto Ricoes 63

  • 7월 18일, 에티엔 데스마르토 경기장

이탈리아/Italiait 86, 미국/United States영어 106

  • 7월 18일, 에티엔 데스마르토 경기장

이집트/Misrar 64, 체코슬로바키아/Československocs 103

  • 7월 20일, 에티엔 데스마르토 경기장

이탈리아/Italiait 2, 이집트/Misrar 0 (몰수)

  • 7월 20일, 에티엔 데스마르토 경기장

미국/United States영어 95, 푸에르토리코/Puerto Ricoes 94

  • 7월 20일, 에티엔 데스마르토 경기장

유고슬라비아/Jugoslavijash 99, 체코슬로바키아/Československocs 81

  • 7월 21일, 에티엔 데스마르토 경기장

푸에르토리코/Puerto Ricoes 2, 이집트/Misrar 0 (몰수)

  • 7월 21일, 에티엔 데스마르토 경기장

체코슬로바키아/Československocs 69, 이탈리아/Italiait 79

  • 7월 21일, 에티엔 데스마르토 경기장

유고슬라비아/Jugoslavijash 93, 미국/United States영어 112

  • 7월 22일, 에티엔 데스마르토 경기장

체코슬로바키아/Československocs 89, 푸에르토리코/Puerto Ricoes 83

  • 7월 22일, 에티엔 데스마르토 경기장

유고슬라비아/Jugoslavijash 88, 이탈리아/Italiait 87

  • 7월 22일, 에티엔 데스마르토 경기장

미국/United States영어 2, 이집트/Misrar 0 (몰수)

  • 7월 24일, 에티엔 데스마르토 경기장

미국/United States영어 81, 체코슬로바키아/Československocs 76

  • 7월 24일, 에티엔 데스마르토 경기장

유고슬라비아/Jugoslavijash 2, 이집트/Misrar 0 (몰수)

  • 7월 24일, 에티엔 데스마르토 경기장

이탈리아/Italiait 95, 푸에르토리코/Puerto Ricoes 81

3. 3. 남자부 결선 토너먼트

7월 26일에 열린 준결승전에서 유고슬라비아가 소련을 89-84로, 미국이 캐나다를 95-77로 꺾었다. 7월 27일에 열린 결승전에서는 미국이 유고슬라비아를 95-74로 꺾고 금메달을 차지했다. 같은 날 열린 3-4위전에서는 소련이 캐나다를 100-72로 꺾고 동메달을 획득했다. 경기는 몬트리올 포럼에서 개최되었다.

3. 4. 남자부 순위 결정전

'''5~8위 결정전'''

7월 25일에 열린 준결승에서 체코슬로바키아가 쿠바를 91-76으로, 이탈리아호주를 79-72로 이겼다. 7월 27일에 열린 5위 결정전에서 이탈리아가 체코슬로바키아를 98-75로 꺾고 5위를 차지했다. 같은 날 열린 7위 결정전에서는 쿠바가 호주를 92-81로 꺾고 7위를 차지했다.

'''9~12위 결정전'''

7월 25일에 열린 준결승에서 멕시코이집트에 2-0 몰수승을 거두었다. 같은 날 푸에르토리코일본을 111-91로 꺾었다. 7월 27일에 열린 9위 결정전에서 푸에르토리코멕시코를 89-84로 꺾고 9위를 차지했다. 같은 날 열린 11위 결정전에서는 일본이집트의 기권으로 11위를 차지했다.

기권 경기.

3. 4. 1. 5-8위 결정전

7월 25일에 열린 준결승에서 체코슬로바키아가 쿠바를 91-76으로, 이탈리아호주를 79-72로 이겼다. 7월 27일에 열린 5위 결정전에서 이탈리아가 체코슬로바키아를 98-75로 꺾고 5위를 차지했다. 같은 날 열린 7위 결정전에서는 쿠바가 호주를 92-81로 꺾고 7위를 차지했다.

3. 4. 2. 9-12위 결정전

7월 25일에 열린 준결승에서 멕시코이집트에 2-0 몰수승을 거두었다. 같은 날 푸에르토리코일본을 111-91로 꺾었다. 7월 27일에 열린 9위 결정전에서 푸에르토리코멕시코를 89-84로 꺾고 9위를 차지했다. 같은 날 열린 11위 결정전에서는 일본이집트의 기권으로 11위를 차지했다.

기권 경기.

3. 5. 남자부 최종 순위


4. 여자부

여자 농구는 1976년 하계 올림픽 몬트리올에서 처음으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여자 농구 첫 올림픽 토너먼트는 단일 라운드 로빈 그룹으로 구성되었으며, 최종 순위는 그룹 순위에 따라 결정되었다. 소련 팀은 무패로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미국 팀은 불가리아 팀을 상대로 승리하여 은메달을 획득했다. 이 승리로 인해 두 팀 간의 동점이 깨지고 미국 팀이 유리해졌다.

득점실점득실차승점상대 전적
소련/Soviet Union women's national basketball team영어50504346+15810
미국/United States women's national basketball team영어32415417−281승–0패
불가리아/Bulgaria women's national basketball team영어32365377−1280승–1패
체코슬로바키아/Československá basketbalová reprezentace žencs23351359−871승–0패
일본/バスケットボール女子日本代表일본어23405400+570승–1패
캐나다/Canada women's national basketball team영어05336477−1415


4. 1. 여자부 출전국

1976년 하계 올림픽 농구 여자부 본선에는 총 6개국이 진출했다. 개최국인 캐나다와 1975년 FIBA 여자 농구 월드컵 상위 3개 팀인 소련, 일본, 체코슬로바키아는 자동 출전권을 얻었다. 미국불가리아는 예선을 통과하여 올림픽 출전 자격을 획득했다.

예선쿼터출전국
개최국1
1975년 세계 선수권3

아메리카1
유럽1
6


4. 2. 여자부 경기 결과

1976년 하계 올림픽 농구 여자부 경기는 6개 팀이 참가하여 단일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각 팀은 다른 모든 팀과 한 번씩 경기를 치렀으며, 경기 결과에 따라 최종 순위가 결정되었다.

소련은 5전 전승으로 압도적인 경기력을 선보이며 금메달을 획득했다. 미국은 3승 2패로 은메달을 획득했는데, 불가리아와의 경기에서 승리하며 동률을 이루었던 불가리아를 제치고 은메달을 차지했다. 불가리아는 미국과 같은 3승 2패를 기록했지만, 미국과의 경기에서 패배하여 동메달에 머물렀다.

일본은 2승 3패로 5위를 기록했다.

득점실점득실차승점상대 전적
소련/Soviet Union women's national basketball team영어50504346+15810
미국/United States women's national basketball team영어32415417−281승–0패
불가리아/Bulgaria women's national basketball team영어32365377−1280승–1패
체코슬로바키아/Československá basketbalová reprezentace žencs23351359−871승–0패
일본/バスケットボール女子日本代表일본어23405400+570승–1패
캐나다/Canada women's national basketball team영어05336477−1415


4. 3. 여자부 최종 순위


5. 메달 집계

순위남자여자
미국소련
유고슬라비아미국
소련불가리아


6. 한국 농구의 상황 (1970년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